성장호르몬 관련 Q&A
1. 성장호르몬이 뭔가요?
뇌 시상하부의 명령을 받아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 제형의 호르몬입니다.
이것은 체내 골격계의 성장 촉진뿐만 아니라 단백질 합성 및 지방분해 촉진과 같은 다양한 대사작용을 합니다.
성장호르몬 약은 천연형 호르몬과 그 작용 및 생리활성이 같습니다.
2. 키를 위한 성장호르몬 약은 언제까지 치료할 수 있나요?
성장의 끝 무렵까지 주사를 맞을 수는 있습니다. 그 시기는 보통 여자의 경우 뼈나이 14-15세, 남자의 경우 뼈나이 16-17세까지 해당되거나 키가 6 개월에 1cm 이하로 자랄 때까지입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뼈나이 검사(손목 X-ray검사)를 시행할 수 있으니, 담당 의사 선생님과 중단시기에 대하여 진료 시 상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치료 중에 얼마나 크는 것을 기대할 수 있나요?
개인의 여러 가지 상황(치료시작 나이, 사춘기 진행 정도, 치료 기간, 영양 상태, 규칙적인 운동 여부, 스트레스 여부, 개인체징 등)에 따라 기대 성장은 다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 선생님과 진료 시 상담받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적절한 시기에 성장호르몬 치료를 시작하는 아이의 경우, 본인이 원래 크는 것보다 플러스되어 성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성장호르몬 결핍이 있는 환자의 경우는 단기간에는 연간 10-12cm 크며, 연 2cm 미만으로 자랄 때까지 장기간 투여하면 최종 신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가족성 저신장을 포함한 특별한 원인이 없이 키가 작은 특발성 저신장의 경우 사춘기 이전에는 성장 속도가 연간 4-6cm 정도이지만 성장호르몬을 투여하게 되면 단기간에는 연간 8-10cm 정도 자라며, 4-5년 이상 꾸준히 주사했을 때 최종 신장이 5-10cm 증가함이 최근 보고되었습니다.
4. 얼마나 자주 병원에 다니게 되나요?
일반적으로 3개월마다 다니는 것을 권하지만, 개인사정에 따라 적어도 6개월에 한 번은 병원에 오시는 것을 권합니다. 신체 계측을 통해 효과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혈액, 소변을 이용한 간단한 검사를 하게 됩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량 조절을 하게 됩니다. 필요시 척추측만증 검사도 추가로 외래를 보기도 합니다. 보험처리 시 보험 적용에 따른 처방 횟수를 꼭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예, 급여로 처방시 실비적용 일 최대 25 만원/약 처방 일 최대 5 만원 혹은 원내/원외 처방을 고려하여 개인부담이 적어지도록 하고, 비급여로 처방받으실 경우에는 원내가 조금 더 저렴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5. 성장호르몬 치료 중에 수면이나 운동이 도움이 되나요?
몇 시에 자고 몇 시에 자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잘 자는 것입니다. 즉, 수면의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며, 보통 잠들고 1-2시간 뒤 숙면을 취할 때 성장호르몬이 잘 분비된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또한, 운동 시에도 성장호르몬이 더 잘 분비된다고 하니 아이가 지칠 정도의 운동은 지양하되 스트레칭, 줄넘기, 자전거 타기 등 아이가 즐길 수 있는 규칙적인 운동은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서울삼성병원에서 받은 정보와 개인적으로 알게 된 정보 같이 작성하였습니다.
'정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시 꼬마농부 놀이터 휴일방문후기 (0) | 2023.03.14 |
---|---|
성장호르몬 주사 치료 Q&A #2 (0) | 2023.02.18 |
철산역 유아 증명사진 여권사진 추천 (0) | 2022.12.03 |
서대문독립공원/서대문형무소역사관 (2) | 2022.11.30 |
광명시 철산도서관 방문 후기 (5세랑) (0) | 2022.11.27 |